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2025 공무원 봉급표 + 수당체계 총정리 (실제 급여명세서 & 상여금 포함)

반응형

성과급·명절비·정근수당 비교 정리

 

 

지난 글에서는
2025년도 공무원 봉급표와 기본급 구조를 알아보고,
8급 일반직 공무원의 급여명세서를 통해
‘평달(특별히 큰 수당이 안들어오는 달)’의 수당 체계를 살펴봤다.

 

2025 공무원 호봉표(기본급+수당) - 8급 실수령 전부공개

 

하지만 평달은 1년 중 가장 실수령액이 적은 시기다.
공무원 급여는 월별 수당 지급 주기에 따라
체감 급여가 크게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공무원 급여에서 금액 차이를 가장 크게 만드는 수당 TOP3를 중심으로,
실제 급여명세서를 통해 비교해보겠다.

 

실수령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수당

성과상여금

명절휴가비

정근수당


실제 명세서로 보는 수당 포함 여부

📌 기준: 2025년 8급 일반직 공무원 / 7호봉


 

  1월 2월 3월
본봉 2,434,400 2,434,400 2,434,400
명절휴가비 1,460,640
정근수당 730,320
성과상여금 2,983,810
시간외근무수당 53,640 171,660
고정수당계 (급식·직보·기술 등) 약 385,000 약 415,000 약 415,000
공제총액 542,810 551,960 587,900
실수령액 4,527,550 2,500,890 5,566,780
 
반응형

수당이 포함된 달과 아닌 달의 차이

1월은 설 명절과 정근수당이 함께 지급되어
실수령 기준 450만 원 이상 수령하게 된다.

2월은 별도 수당이 없어
기본급과 고정수당만 포함된 달로,
실수령이 250만 원 수준에 머무른다.

3월은 연 1회 지급되는 성과상여금이 포함되어
실수령이 550만 원을 넘어선다.

 

공무원 급여명세서


수당 지급 구조 요약

공무원 수당은 다음과 같은 주기로 지급된다

 

정근수당: 1월, 7월 (반기별 근속에 따라 지급)

 

명절휴가비: 설·추석이 포함된 분기 직전 지급

 

성과상여금: 매년 3~4월 중 1회 지급 (차등 지급)

 

고정수당: 급식비, 기술수당, 직급보조비 등 → 매월 고정

 

시간외근무수당: 근무량에 따라 월별 변동


공무원 급여는 기본급은 고정,
수당은 시기별로 분산 지급되는 구조다.

 

같은 호봉이라도
1월, 3월처럼 수당이 집중되는 달
2월 같은 평달의 실수령액은
두배까지도 달라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