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민내일배움카드 총정리
신청 조건부터 지원금, 훈련과정까지 완벽 해설
국민내일배움카드는
국민 누구나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훈련비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취업 준비 중인 청년, 퇴사자, 근로자, 경력단절 여성, 자영업자 등
대부분의 국민이 신청 가능하며,
국비 300만~500만 원까지 지원받아 다양한 자격증, 실무과정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 누구나 신청 가능할까?
구직자(실업자) | 가능 |
재직자(근로자) | 가능 |
자영업자 | 가능 (연매출 1.5억 이하) |
특수형태근로자(플랫폼노동자 등) | 가능 |
대학생 | 가능 (졸업예정자만) |
공무원·사학연금 대상자 | 불가 |
→ 대부분 신청 가능하나 공무원, 대기업 정규직, 군인 등 일부 제한 있음
✅ 얼마까지 지원되나?
기본지원금:
1인당 300만 원 (5년간)
우대지원 대상:
저소득층, 청년구직자, 경력단절 여성 등은 최대 500만 원까지 확대
자비부담금:
보통 훈련비의 15~55%는 자비 부담
(훈련과정·소득 수준 따라 다름)
※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는 대부분 자비부담률 0~20% 수준
✅ 어떤 교육을 들을 수 있나?
컴퓨터 활용능력, 엑셀 실무, 전산회계
웹디자인, 영상편집, UXUI 디자인
코딩, 데이터분석, 자바, 파이썬
사회복지사·보육교사 관련 보수교육
바리스타, 제과제빵, 조리, 미용 등 기능직 실습 과정
지게차, 전기기능사, 건축도면 등 산업기사 준비반
→ 훈련 과정 수는 2025년 기준 약 6만 개 이상,
고용노동부 HRD-Net(www.hrd.go.kr) 에서 지역별/과정별 검색 가능
✅ 신청 방법은?
회원가입 및 상담 신청
→ HRD-Net 접속 →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 온라인 상담 또는 고용센터 방문 상담
훈련계획 수립
→ 훈련과정 탐색 후 희망 과정 선택
→ 직업상담사와 상담 후 훈련계획서 승인
카드 발급
→ 본인 명의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 (농협 or 신한)로 발급됨
훈련 수강 & 출결관리
→ 출석률 80% 이상, 중도포기 시 불이익 발생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실직 상태여야 신청 가능한가요?
→ 아닙니다. 대부분의 재직자도 신청 가능. 직장 다니며 수강 가능
Q. 어떤 카드로 발급되나요?
→ 농협, 신한카드 중 선택 가능 (실물 카드 필요)
Q. 온라인 강의도 가능한가요?
→ 가능. 단, 일부 과정은 실습·출석 필수
Q. 훈련수당도 나오나요?
→ 구직자 중 '국민취업지원제도' 대상자는
월 최대 30만 원 훈련참여수당 별도 지급
✅ 2025년 변경사항 요약
훈련비 상한 확대: 일부 자격 과정은 500만 원 이상 과정도 포함
디지털 전환 분야(AI, 빅데이터 등) 지원 강화
중도포기자 패널티 강화: 2회 이상 포기 시 일정 기간 재신청 불가
모바일 출결 관리 시스템 강화
'정부혜택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내일배움카드 자비부담금 없는 강의 추천 (1) | 2025.05.22 |
---|---|
청년월세지원 2025 최신 가이드|서울·경기·지방 도시별 신청 일정 비교 (0) | 2025.05.22 |
에너지바우처 여름·겨울 차이 정리|가구원 수별 지원금 비교 (2025) (1) | 2025.05.22 |
에너지바우처 신청 방법부터 사용처까지 한눈에 정리 (2025 최신) (0) | 2025.05.22 |
2025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총정리|도서, 영화, 여행 어디까지 가능? (1) | 2025.05.22 |
2025 청년기본소득·청년수당·월세지원 총정리|신청조건부터 금액까지 (0) | 2025.05.21 |
청년이라면 무조건 받자! 2025년 경기도 기본소득 25만원 (1)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