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청년 혜택 총정리
현금지원부터 주거·취업·자산형성까지
2025년 현재 청년을 위한 정책은
생계지원, 자산형성, 주거비, 취업역량 강화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현금 지원 위주 실질적 혜택을 중심으로,
청년층이 꼭 알아야 할 주요 제도를 총정리했다.
✅ 1. 현금 지원
①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만 24세, 경기도 거주 청년 대상
분기별 25만 원, 연 100만 원
지역화폐로 지급
② 서울시 청년수당
만 19~34세 미취업 청년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지원
구직활동 계획서 제출 등 필요
③ 청년월세지원 (전국)
월세 최대 20만 원, 12개월간
국토교통부 + 지자체 연계 사업
✅ 2. 자산형성 지원
① 청년도약계좌 (전국)
만 19~34세,
개인소득 4,800만 원 이하
월 70만 원까지 납입 시
정부가 최대 40만 원 추가 지원
5년 유지 시 최대 5,000만 원 이상 자산 형성
② 청년내일저축계좌 (차상위 이하)
근로 중인 청년 중 중위소득 100% 이하
월 10만 원 납입 시
정부가 30만 원 이상 매칭
✅ 3. 주거 지원
① 청년 전세보증금 대출 (버팀목 대출)
만 19~34세 청년
전세자금 최대 1억 원,
저금리(연 1.2~2.1%)
무주택 +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②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지원
전세 계약 시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보증제도
주택도시보증공사(HUG),
SGI서울보증 운영
✅ 4. 교통·문화·기타
① 청년문화패스 (서울 외)
만 19~24세 대상 공연·전시 등 할인
일부 지자체 문화바우처 형태로 운영
② 지역 청년카드/청년수당
예: 부산 디딤돌카드, 대전 청년희망카드
지역화폐 월 20만 원 내외 지급
지자체별 상이 (체류요건 필수 확인)
요약 정리
현금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분기별 25만 원 (지역화폐) |
현금 | 서울시 청년수당 | 월 50만 원 (최대 6개월) |
주거 | 청년월세지원 | 월세 20만 원 (1년간) |
자산 | 청년도약계좌 | 5년간 최대 5천만 원 자산 형성 |
자산 | 청년내일저축계좌 | 월 10만 원 저축 + 정부 매칭 |
주거 | 전세보증금 대출 | 최대 1억, 저금리 전세 대출 |
교통·문화 | 지역 청년카드 | 월 10~20만 원 지역화폐 (지자체별 상이) |
요건에 맞는다면 꼭 챙겨서 신청하시기 바란다
소득 조건이나 거주 요건,
나이 제한이 있기 때문에
지금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신청기간 안에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원한다면 지자체별 세부 정책 비교글도 이어서 작성할 수 있다.
다음글에서는 각 정책별 신청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정부혜택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내일배움카드 자비부담금 없는 강의 추천 (1) | 2025.05.22 |
---|---|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부터 사용법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5.22 |
청년월세지원 2025 최신 가이드|서울·경기·지방 도시별 신청 일정 비교 (0) | 2025.05.22 |
에너지바우처 여름·겨울 차이 정리|가구원 수별 지원금 비교 (2025) (1) | 2025.05.22 |
에너지바우처 신청 방법부터 사용처까지 한눈에 정리 (2025 최신) (0) | 2025.05.22 |
2025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총정리|도서, 영화, 여행 어디까지 가능? (1) | 2025.05.22 |
청년이라면 무조건 받자! 2025년 경기도 기본소득 25만원 (1)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