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혜택 지원금

2025 청년기본소득·청년수당·월세지원 총정리|신청조건부터 금액까지

반응형

 

 

2025 청년 혜택 총정리

 

2025 청년기본소득·청년수당·월세지원 총정리|신청조건부터 금액까지

 

 

현금지원부터 주거·취업·자산형성까지

2025년 현재 청년을 위한 정책은
생계지원, 자산형성, 주거비, 취업역량 강화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현금 지원 위주 실질적 혜택을 중심으로,
청년층이 꼭 알아야 할 주요 제도를 총정리했다.


✅ 1. 현금 지원

①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만 24세, 경기도 거주 청년 대상

분기별 25만 원, 연 100만 원

지역화폐로 지급

 

② 서울시 청년수당

만 19~34세 미취업 청년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지원

구직활동 계획서 제출 등 필요

 

③ 청년월세지원 (전국)

월세 최대 20만 원, 12개월간

국토교통부 + 지자체 연계 사업


✅ 2. 자산형성 지원

① 청년도약계좌 (전국)

만 19~34세,

개인소득 4,800만 원 이하

월 70만 원까지 납입 시

정부가 최대 40만 원 추가 지원

5년 유지 시 최대 5,000만 원 이상 자산 형성

 

② 청년내일저축계좌 (차상위 이하)

근로 중인 청년 중 중위소득 100% 이하

월 10만 원 납입 시

정부가 30만 원 이상 매칭


✅ 3. 주거 지원

① 청년 전세보증금 대출 (버팀목 대출)

만 19~34세 청년

전세자금 최대 1억 원,

저금리(연 1.2~2.1%)

무주택 +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②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지원

전세 계약 시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보증제도

주택도시보증공사(HUG),

SGI서울보증 운영


✅ 4. 교통·문화·기타

① 청년문화패스 (서울 외)

만 19~24세 대상 공연·전시 등 할인

일부 지자체 문화바우처 형태로 운영

 

② 지역 청년카드/청년수당

예: 부산 디딤돌카드, 대전 청년희망카드

지역화폐 월 20만 원 내외 지급

지자체별 상이 (체류요건 필수 확인)


요약 정리


 

현금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분기별 25만 원 (지역화폐)
현금 서울시 청년수당 월 50만 원 (최대 6개월)
주거 청년월세지원 월세 20만 원 (1년간)
자산 청년도약계좌 5년간 최대 5천만 원 자산 형성
자산 청년내일저축계좌 월 10만 원 저축 + 정부 매칭
주거 전세보증금 대출 최대 1억, 저금리 전세 대출
교통·문화 지역 청년카드 월 10~20만 원 지역화폐 (지자체별 상이)
 

 

요건에 맞는다면 꼭 챙겨서 신청하시기 바란다


소득 조건이나 거주 요건,

나이 제한이 있기 때문에
지금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신청기간 안에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원한다면 지자체별 세부 정책 비교글도 이어서 작성할 수 있다.


다음글에서는  각 정책별 신청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반응형